5060 신중년 ‘주된 일자리➡재취업 일자리➡사회공헌 일자리’로 이어지는 인생3모작 기반 구축

고용노동부 등 관계 부처가 8일(화) 14시에 개최된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의 제2차 회의(일자리 위원회 이용섭 부위원장 주재)에서 ‘신중년 인생 3모작 기반 구축 계획’을 발표하였다.
금번 대책은 지난 6월 1일 일자리 위원회에서 발표한 ‘일자리 100일 계획’에 포함되었던 계획에 따라 마련된 것이다.
신중년은 우리나라 고도성장의 주역이나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의 이중고를 겪는 마지막 세대로 노후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인구 집단이다.
50세 전후에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20여 년간 제2, 제3의 재취업 일자리나 사회 공헌형 일거리에 종사하다 72세에 노동시장에서 은퇴를 하지만 그동안 정부의 정책대상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측면이 있어 왔다.
이번 대책의 특징은 전체 인구의 1/4, 생산 가능인구의 1/3을 차지하는 5060세대를 신중년이라는 용어로 명명하였고 ‘주된 일자리➡재취업 일자리➡사회공헌 일자리’로 이어지는 인생3모작 기반 구축을 위한 종합 계획을 정부 최초로 발표한 것이다.
금번 대책은 그동안 정책대상에서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던 신중년들이 성공적인 인생 3모작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을 줌으로써 “활력 있는 노후(Active Ageing)” 생활을 하는 가교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그간 신중년은 인생 3모작을 미리 준비하기가 어려웠다.
고용노동부는 생애경력설계 서비스를 확대하여 누구나 생애 전반에 걸쳐 최소 3회 이상 경력설계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보건복지부는 지역 노후준비 지원센터를 통해 노후준비 4대 분야 (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 등)에 대한 교육·상담 서비스 등을 활성화한다.
향후 고용복지+센터와 국가 일자리 포털(2019년 말 완료예정) 중심으로 관련 서비스의 온·오프라인 연계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 이성기 차관은 “신중년은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이라는 이중고 하에서 제대로 노후준비를 못하고 있다”라며 “이번 대책을 통하여 신중년이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2·3모작을 영위하도록 함으로써 인구 절벽 상황에서도 국가 경쟁력 및 생산성 증진에 기여하여, 전 국가적으로 활력이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