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협력 에너지효율화 사업 추진, 센터 내 18MW 전력저장장치 설치
중랑물재생센터 향후 13년간 18억원 전력요금 절감 효과

중랑물재생센터는 전국 공공기관 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설비인 대용량전력저장장치(ESS)를 올 연말까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규모 전력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는 리튬전지와 같은 소형전지를 대형화한 것으로 쓰고 남은 전기를 저장하여 재활용 한 것이다. 이 설비는 ‘전력저수지’ 기능을 수행하고 정전시에는 비상전원으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하계 전력부하관리에도 유용한 신재생에너지 장치이다.
이번에 설치하는 ESS는저장용량 18MW(megawatt)로 일반 가정 약 1,600 가구가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용량이며, 정부가 지난해 12월 ESS 활용 촉진을 위해 '특례 요금제도'를 개정한 이후 공공시설에 설치하는 것으로는 전국 최대 규모다.
중랑물재생센터와 LG-히타치워터솔루션(주)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이 사업은 중랑물재생센터가 센터 내 유휴부지(275㎡)를 제공하고 LG-히타치워터솔루션이 약 100억 원의 시설비를 투자한다.
양 측은 지난 8.4. 중랑물재생센터에서 ESS 설치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내용으로 8월말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한 후 9월부터 12월말까지 설치공사 및 시운전을 완료하고 ‘18년 1월부터 ‘30년 12월까지 총 13년 간 운영할 것을 상호 합의하였다.
사업 시행으로 중랑물재생센터는 운영기간 동안 약 18억원의 전력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필두로 서울시의 다른 3개 하수처리장 및 상수도 취수장·정수장 및 가압장으로 ESS 설치를 확대할 경우 연간 8억여원의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중랑물재생센터 이인근 소장은 “이번 사업은 민관이 상호 협력하여 대형공공시설에 에너지효율화사업을 달성한 우수 모델”이라며 “향후 센터내 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을 추가 도입하는 등 하수처리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력에너지 절감계획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24시간 가동되어야 하는 하수처리장의 특성상 불시 정전방지 등 전력수급의 안정화로 하수처리장 방류수질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