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연합뉴스 제공. |
[세계투데이 = 김혜성 기자] 오는(31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방지 하기 위해 도쿄도(都)를 한 달간 봉쇄할 경우 총생산 5조억엔대(약 60조원)의 감소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이이치세이메이(第一生命)경제연구소에서 한 달간의 실질 총생산 감소분을 추산한 결과
도쿄에서만 실질 총생산 감소분이 5조 1000엔에 달하고, 봉쇄 조치가 가나가와(神奈川)현 등 인접 광역 지역으로 확대될 경우 한 달간 손실 규모가 8조 9000억엔(약 100조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소의 구마노 히데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도쿄가 봉쇄돼 사람 이동이 엄격히 금지되면 일본경제는 머리를 도는 혈액이 멈추는 것과 같은 피해를 보게 될 것"이며 봉쇄 수위에 따라 손실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면서 봉쇄를 하더라도 최저한의 경제활동이 가능한 '이동자제' 수준을 넘게 되면 일본경제가 "괴멸적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책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긴급사태를 선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정비를 끝내 놓은 상태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최근 급증하는 도쿄를 중심으로 긴급사태가 선포돼 도시봉쇄가 단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책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긴급사태를 선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정비를 끝내 놓은 상태라고 말했지만 0일 저녁 집권 자민당 간부회의에서 "내가 긴급사태와 계엄령까지 선포한다는 헛소문이 나돌고 있는 것 같다. 유언비어와 가짜뉴스에 주의하길 바란다"면서 현 단계에선 긴급사태 선포나 도시봉쇄 같은 조처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아베 총리가 이처럼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는 것은 긴급사태가 발령되면 도쿄를 중심으로 한 일본 전역의 경제활동이 한층 악화할 것을 우려하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도 오는(31일) 기자회견에서 "지금이 급속한 감염 확산을 피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다는 인식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긴급사태 선포는 국민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