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앤디 김 미 연방 상원의원(민주·뉴저지)이 28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미 의회 건물에서 열린 한국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8.29 jhcho@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앤디 김 미국 연방 상원의원(민주ㆍ뉴저지)은 28일(현지시간) 대(對)중국 견제 쪽에 방점이 찍힌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한국에 대한 미국의 핵우산 제공 공약을 의미하는 '확장억제'의 병행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국계 첫 미국 연방 상원의원인 김 의원은 이날 워싱턴 DC의 미 의회 건물에서 열린 한국 특파원단 대상 간담회에서 "안보 태세에 있어서 항상 영민할 필요"가 있고, "큰 그림"을 생각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확장억제를 보장하면서 전략적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우리의 억지력은 인도ㆍ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어떤 비상사태나, 이슈를 다루기 위한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하면서 한반도 방어를 도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한미간에 논의되고 있는 전략적 유연성은 결국 주한미군의 역할을 기존의 주된 임무인 대북 억제에 국한하지 않고, 주한미군을 대중국 견제와 대만해협 유사시 투입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구상이다.
지난 25일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의 한미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뤄졌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 대통령은 지난 24일 미국행 기내 인터뷰에서 "(미 측에서 주한미군 등의) 유연화에 대한 요구도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로서는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신중론을 피력한 바 있다.
또 확장억제는 한국에 대해 미국 본토와 같은 수준의 핵 억지력을 제공하는 개념으로, 미국 정부의 대(對)한국 안보 공약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이날 김 의원은 한중관계에 미칠 영향 등으로 인해 한국 국내에서 신중론이 적지 않은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변화하는 인도ㆍ태평양 지역 안보 환경 속에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이재명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
(워싱턴=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25.8.26 xyz@yna.co.kr
김 의원은 그러면서 "나는 한미간에 별도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한, 주한미군 병력 수준(현재 약 2만8천500명)에 변화를 줘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주한미군 감축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이어 "나는 항상 말하지만 한국이 어떤 발표에 의해 놀라게 되는 상황을 보고싶지 않다"며 "한국은 (미국의) 전략적 동맹국으로서 (사전에 미국과) 협의 및 대화를 할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만약 한국과의 사전 상의 없이 미국이 (한미동맹과 관련한) 어떤 일을 일방적으로 한다면 우리의 경쟁자와 적들에게 이 동맹(한미동맹)의 상태와 관련한 나쁜 메시지를 던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