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현재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9억1216만원으로, 국민은행이 이 통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9억원을 넘겼다.
저가주택과 고가주택 수에 영향을 받는 평균가격과 달리,서울 아파트를 가격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중위 가격'은 정중앙 가격만 따지기에 시세 흐름을 더 잘 보여준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9억 원 이상이면 대출과 세제에서 고가주택으로 분류되어
서울 아파트 절반가량이 양도소득세 부과, 취득세율 상승,
대출 규제 축소 대상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집값 상승률이 최근 몇 년 새 훨씬 더 가팔라졌다는 점이다.
현 정부 출범 초기인 지난 2017년 5월의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6억635만원으로
6억원을 갓 넘긴 상태였다.
이후 9·13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잠시 하락하던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지난해 5월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해
작년 12월 8억9751만원으로 9억원에 근접, 지난해
말 초강력 규제인 12·16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이달 들어
'고가주택 기준'이라는 심리적 저지선마저 뚫렸다.
서울 아파트값 중위가격이 5억에서 7억까지 오르는 데까지는
8년 반 걸렸는데 다시 2억 원이 오르는 데는 2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아마도 저금리로 시중의
부동자금뿐 아니라 지방의 상경 투자까지 서울아파트 시장으로 몰린 데다가,
고가주택을 중심으로 '갭 투자'까지 기승을 부린 게 서울 아파트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