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진 외교부 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8월 4일 캄보디아 프놈펜 소카호텔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양자회담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한일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소송 문제의 해법으로 패소한 일본 기업의 배상금을 한국의 재단이 대신 내는 방안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다고 23일 교도통신이 복수의 한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 기업이 강제징용 노동자를 지원하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기부금을 내고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일본 정부도 한국 재단이 대납하는 방안이라면 수용 여지가 있다고 판단해 세부 내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정부는 지난 7월 도쿄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협의를 시작했고, 이후 외교장관 회담과 실무 협의 때 여러 차례 한국 측은 재단을 통한 대납 방안을 설명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일본으로서는 용인 가능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한일 정부는 오는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간 대화도 검토하고 있다.
교도통신은 "(강제징용 해법 관련) 협의에 속도를 내 이르면 연내도 시야에 놓고 매듭을 짓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자세"라고 전했다.
한국 측은 피고인 일본 기업의 사죄와 재단 자금 거출(갹출)을 타진하고 있지만, 일본 측이 거부하고 있어 양측 간 대화가 계속되고 있다.
일본 측에선 보수층의 반발을 고려해 안이한 타협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한국 측에는 일본 기업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고 말했다.
G20 계기의 한일정상 접촉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혀 예상하지 않고 있고 논의를 시작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