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에 신 DTI(총부채상환비율)와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을 도입하기로 했다. 따라서 대출을 받아 집을 마련하기가 더 어려워졌다. (사진=내부DB) [서울=세계TV] 이민석 기자 = 정부가 내년에 신 DTI(총부채상환비율)와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을 도입하기로 했다. 따라서 대출을 받아 집을 마련하기가 더 어려워졌다.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는 24일 합동으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갚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빌리도록 하는 게 원칙"이라며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점진적으로 낮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이찬우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내년부터 신 DTI가 도입되면 부동산 시장에서 투기적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 DTI'는 기존 DTI가 대출원리금에 신규 주택담보대출 원리금과 기존 주택담보대출 등의 이자상환액만 포함한 것에서 더 나아가 주택담보대출 원금까지 포함돼 돈 빌리기가 더 어려워진다.
또 내년 하반기부터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Debt Service Ratio)이 도입된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에서 주택담보와 신용대출 등 모든 원리금 상환액을 소득으로 나눈 지표로 대출액을 산정해 대출이 더 어려워진다.
반면 정부는 상환능력이 낮은 가구와 생계형 자영업자 등에 대해 맞춤형 지원을 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6∼9% 수준인 연체 가산금리 3∼5%로 인하 △상환불가능한 가구의 1000만 원 이하 10년 이상 소액·장기 연체 채권은 매입등을 통한 소각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