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의 엣지 있는 도심 오아시스 'CL143'

백명진 / 기사승인 : 2018-02-09 14:24:06
  • -
  • +
  • 인쇄
의료, 휴식ㆍ사교공간 등 한쪽으로 쏠린 경쟁사 서비스와 차별화

▲사진은 CL143 청담 조감도.

[서울=세계TV] 백명진 기자 = 국내 최대 규모 프라이빗 멤버십 메디컬뷰티센터 'CL143'이 국가 차세대 산업으로 급부상중인 항노화(안티에이징ㆍAnti-Aging) 산업의 대표주자로 떠올랐다. 하늘숲메디컬그룹이 운영하는 ‘CL143’은 의료·건강·뷰티를 아우르는 원스톱 토털 서비스로 안티에이징을 넘어선 메디에이징을 실현하면서 경쟁사들을 압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9일 안티에이징 업계에 따르면 국내 항노화시장은 급격하게 팽창하고 있다. 상위 1% 상류층을 중심으로 나이를 불문하고 건강하고 아름다움 삶을 원하는 국민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항노화산업 클러스터 조성에 지자체가 앞다퉈 뛰어들고 산업 영역도 확장되고 있다. 

안티에이징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역시 늘어나면서 최적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고객들의 옥석 가리기도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제품이나 업체별로 각기 장단점이 달라 고객들의 고민은 깊어질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1% VVIP 중심의 프라이빗 멤버십 메디컬뷰티센터의 경우도 업체별 차이가 뚜렷하다. 대표적으로 ‘차움’의 경우 노화방지와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의료 중심의 수준 높은 안티에이징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지만 뷰티 부문에서는 주 고객층인 상류층 기대치에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가 적지 않다.

반면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이 운영 중인 ‘반얀트리’의 경우 전통적인 동양의 치유 요법에서 영감을 받은 마사지와 바디트리트먼트 서비스로 뷰티 부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가 빠지면서 외면을 넘어선 내면의 건강하고 아름다움까지 추구하는 고객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는 메디에이징 원스톱 토털서비스를 제공하는 ‘CL143’이 고객들에게 좋은 점수를 받는 배경이 되고 있다.

‘CL143’은 전문 의료진인 ’나만의 주치의’가 고객 몸 상태를 과학적으로 정밀 진단한 분석 자료를 토대로 노화방지, 다이어트, 재활, 통증 완화 등 최적의 메디메이징 솔루션을 제공한다.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몸속 내면을 의학적으로 다스리면서 변치 않는 아름다움을 가꾸고, 자칫 소홀하기 쉬운 건강관리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CL143’은 고품격 뷰티 서비스도 차별화된다. ‘CL143’은 세계 수퍼리치들이 선택해온 프랑스 하이엔드 에스테틱 스파 떼마에(THEMAE) 프리미어 초일류 테라피 기법을 국내 최초로 도입, 촉촉하고 윤기 넘치는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스파 또한 메디컬 처방을 근거로 한다.

세계대회 수상자와 엘리트 체육특기자 경력의 전문 강사진이 개인 지도하는 메디-피트니스, 뉴욕 일레븐 메디슨 파크(Eleven Madison Park·미슐랭가이드 3스타 레스토랑, 2017년 월드50 베스트 레스토랑 1위)의 알렌 서(Allen Suh) 셰프가 총괄 디렉터로 함께 하는 최고급 레스토랑(청담점) 등 부대서비스도 고객의 기대치를 높이고 있다.

철저한 사전 한정 예약제에 입장과 퇴장 시 회원간 얼굴을 마주칠 일이 없도록 설계돼 고객 사생활 보호에 최적화된 동선 역시 찬사를 받고 있다.

‘CL143’의 모(母)그룹 하늘숲메디컬그룹의 전철 대표이사는 "의료나 휴식개념에만 머물고 있는 기존 서비스의 한계를 뛰어 넘어 아름답고 건강한 삶을 원하는 고객이 받고 싶어하는 거의 모든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한다"고 말했다. 건강, 휴식, 명사들의 사교장소 등 메이에이징 서비스의 완결판인 셈이다.

‘CL143’은 오는 4월과 5월 강남구 청담동과 천안 불당동점을 시작으로 올해 제주 중문, 마곡, 미사, 세종 등에 네트워킹 지점을 순차적으로 오픈할 예정이다.

하나의 CL143 멤버쉽으로 전국 각 지점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온라인 포털에서 ‘CL143’을 검색하면 알 수 있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선교

+

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