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7.22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과거 위안부 합의와 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국가 간 약속은 번복하기 어렵다"며 기존 합의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21일 보도된 요미우리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 입장에서는 수용하기 힘든 이전 정권의 합의"라고 언급하면서도, 국가의 정책 일관성과 대외 신뢰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위안부와 징용 문제가 한국 국민에게 "가슴 아픈 역사"임을 인정하면서, 양국이 현실을 직시하고 상호 이해를 통해 대립을 최소화하며 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요미우리는 이 대통령이 위안부, 징용 문제에 대해 장기적이고 인간적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며, 한국 국민에 대한 배려를 요구했다고 해설했다.
앞서 박근혜 정부는 2015년 아베 정권과 위안부 문제에 합의했고, 윤석열 정부는 강제징용 피해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 산하 재단이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 이틀간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데, 이는 2023년 5월 윤석열 대통령의 히로시마 방문 이후 약 2년 만의 한국 대통령 일본 방문이다.
이 대통령은 일본을 "매우 중요한 존재"로 규정하며, 양국이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상회담에서는 경제, 안전보장, 인적 교류 등 광범위한 주제를 논의할 예정이며, 정례적인 '셔틀 외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또한,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높이 평가하며 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일 전용 입국심사 재설치에 대해서는 긍정적 입장을 보였으나, 일본 일부 지역 수산물 수입에 대해서는 한국 소비자의 신뢰 회복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는 평화공존과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한미 동맹과 한미일 3국 협력의 중요성도 거듭 역설했다.
이번 인터뷰는 대통령 취임 후 첫 대면 인터뷰로, 요미우리신문 오이카와 쇼이치 대표가 직접 질문을 진행했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