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관련 일자리 변화·윤리 문제도 관심"
 |
▲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공지능 콘퍼런스 '데뷰(DEVIEW) 2019'에서 인공지능 관련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문재인 대통령이 AI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28일 오전 코엑스에서 열린 '데뷰(DEVIEW·Developer's View) 2019' 행사 기조연설을 통해 "올해 안으로 완전히 새로운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제시하겠다"며 "인공지능은 인류의 동반자"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인공지능이 사람 중심으로 작동해 사회혁신 동력이 되도록 함께 노력하자"는 당부와 함께 인공지능 발전으로 인한 일자리 변화, 인공지능 관련 윤리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위급상황을 벗어난 사례를 언급하며 인공지능이 과학기술의 진보를 넘어 새로운 문명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고 소개한 뒤 산업 영역 외에도 국민 건강, 독거노인 복지, 여성 안전, 범죄 예방 등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능성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바야흐로 인공지능 시대"라며 인공지능 개발자들에겐 "인공지능 문명을 만들어 가는 새로운 인류의 첫 세대"라고 칭했다. 이어 인공지능 개발자들의 도전과 상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및 분야별 협력을 정부가 지원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올림픽, 인공지능 연구개발 경진대회 등을 통해 새로운 글로벌 협력모델을 창출할 것을 약속했다.
이외에도 문 대통령은 인공지능 대학원,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등 대학 첨단분야 학과의 신·증설 및 대학교수의 기업겸직 허용 등으로 인재를 육성하고 영입할 것이라 말했고, 데이터 3법의 연내 통과도 국회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분야에 올해보다 50% 는 1조7천억원을 배정했다. 문 대통령은 기업이 경쟁력 있는 분야에 자신 있게 투자하고 빠르게 수익을 내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하며 우리 미래를 좌우할 스타트업에 정책자금을 집중하고 혁신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우리가 강점을 가진 차세대 인공지능 칩 같은 분야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투자해 세계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데뷰'는 네이버가 주최하고 있는 국내 최대규모의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분야 연례 콘퍼런스로, 국내 기술 스타트업의 데뷔 무대이자 교류의 장이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