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토) 개막식… 2일~5일 개막주간 행사 현장토크쇼, 영화상영, 대중강연 등

도시와 건축을 화두로 한 국내 최초의 글로벌 학술‧전시 축제이자 서울에서 열리는 첫 번째 비엔날레인 「2017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약칭 '서울비엔날레',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Urbanism)」가 9월 2일(토) 개막한다.
'서울비엔날레'는 9월2일(토) 개막식을 시작으로 11월5일(일)까지 약 두 달 간 돈의문박물관마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를 비롯해 서울의 역사 및 산업현장 곳곳에서 일제히 열린다.

개막식은 9월2일(토) 14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박원순 시장, 서울비엔날레 홍보대사인 배우 이제훈, 비엔날레 참여 작가와 관계자, 일반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개막식 총감독은 현대무용가 안은미 씨가 맡았으며 <바람이 분다>, <씨를 뿌리다> 등 역동적 무용공연, 이춘희, 이문희 명창의 축가 <달이 차오른다> 등 축하공연이 펼쳐진다.
8월 26일부터 일주일간 비엔날레가 열리는 서울 곳곳을 사진‧영상으로 기록하고 SNS로 공유하는 ‘도시기록단’이 동대문에서 돈의문박물관마을까지 도보행진을 하며 활동을 마무리한다.
또, 이날 개막식을 시작으로 4일 간(2일~5일) 현장토크쇼, 영화상영, 대중강연 등 다채로운 개막주간 행사가 이어진다.
<#1 돈의문 박물관마을 비엔날레 개막과 함께 첫 공개, 한옥‧근현대 건물 30여 개 전시장으로>
메인전시인 ‘주제전’의 무대가 될 돈의문 박물관마을은 ‘서울비엔날레’ 개막과 함께 처음으로 공개된다.
‘주제전’은 ‘아홉가지 공유(Nine Commons)’를 주제로 20여 개 국 38개 팀의 다양한 작품들을 전시한다.
<#2 일제강점기 지어진 구 유한양행‧현대제철 사옥 ‘도시건축센터’로 리모델링… 6개 작품 전시>
특히, 일제강점기에 건설돼 유한양행, 현대제철 사옥으로 사용됐던 건물을 리모델링한 '도시건축센터' 건물에 들어서면 1층에서부터 이색 전시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3 세계 50개 도시 프로젝트 DDP에 집결, '서울‧평양 시장에게 보내는 편지' 등 이색전>
‘주제전‘과 함께 또 하나의 메인전시인 ‘도시전’은 세계적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가 설계한 것으로도 유명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다.
<#4 창신동‧세운상가‧을지로 일대 ‘현장 프로젝트’ 도심제조업 미래경쟁력 세계에 소개>
서울비엔날레가 주목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스팟은 창신동, 세운상가, 을지로 일대 등 서울의 도심제조업 현장이다. 서울의 산업현장 곳곳에서 진행될 ‘현장 프로젝트’는 서울 도심제조업의 잠재력과 미래 경쟁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형민 서울비엔날레 국내 총감독은 “세계 도시건축계에 새로운 획을 그을 서울비엔날레의 개막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며 “개막식을 시작으로 현장토크쇼, 영화상영, 대중강연 등 개막주간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공유도시 서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서울비엔날레의 힘찬 시작을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비엔날레 프로그램별 일정과 신청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서울비엔날레 홈페이지(www.seoulbiennale.org)에서 확인하거나 서울비엔날레 사무국(☎ 02-2096-0108)으로 문의하면 된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