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국제종교자유 보고서 발표, 북 종교 자유 문제 제기
 |
▲ 사진 = 게티이미지. |
[세계투데이 = 유제린 기자] 미국은 10일(현지시간) 북한이 종교자유를 억압하고 있다고 재확인하면서 북한과의 완전한 관계 정상화를 위해선 종교자유를 비롯한 인권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가 발표한 ‘2019 국제종교자유 보고서’에서 미국의 정책과 관여와 관련,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난해 2월 2차 정상회담과 6월의 남북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남에서 “북한 관리들과의 대화에서 미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완전한 관계 정상화는 종교의 자유를 포함한 인권을 다루는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미국이 북한 종교자유를 포함한 인권 문제를 관계 정상화와 연계한 건 지난해 발표한 전년도 보고서에는 없던 내용이다.
국무부는 미국이 지난해 12월 유엔 총회의 북한인권결의안을 지지했고, 다자간 포럼과 다른 국가, 특히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은 정부와의 양자 협의에서도 북한 종교자유에 우려를 제기했다고 전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미 정부 고위 관리들은 일부 기독교 인도주의 단체를 포함해 탈북자와 비정부기구(NGO)를 만났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그간 북한의 종교자유와 인권 문제를 거론했지만, 이와 연계하는 입장을 밝힌 것은 종교자유와 인권 문제에 관한 대북 압박 차원으로 보인다.
국무부는 북한 정부가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처형하거나 고문, 구타, 체포 등을 통해 계속 가혹하게 다뤄왔다고 밝혔다.
또 한국 비정부기구의 2013년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 수용소에는 8만∼12만명의 정치범이 수용돼 있으며 일부는 종교 활동으로 인해 갇혀 있다고 덧붙였다.
국무부는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2014년 보고서는 북한 정부가 사상, 양심, 종교 및 표현의 자유를 거의 완전히 부정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고 말했다.
한편, 국무부는 지난 1998년 미 의회가 제정한 국제종교자유법에 따라 매년 세계 각국의 종교자유를 평가해왔다. 이 법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악명 높은 종교적 자유 침해에 관여하거나 용인하는 국가를 종교자유 ‘특별우려국’으로 지정했다.
유제린 기자 wpfls1021@segyetoday.com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